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, 건설경영의 바른 길 이한씨앤씨입니다.
오늘은 전기공사업면허을 취득하기 위한
필수 등록기준과 증빙방법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.
먼저 전기공사업면허는 전기공사업법에 따른 것으로
위와 같은 업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전구 교체같은 일을 제외하고 전부라고 볼 수 있으며,
전기공사업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요건을 충족합니다.
전기공사업면허의 첫 번째 등록기준은 자본금입니다.
1억 5천만원 이상으로 실질자본금 중
37,500,000원은 전기공사공제조합에 출자 예치하여
보증가능금액확인서를 발급받아 제출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 자본금은 외부 전문진단자에게 기업진단을 받아야 합니다.
사업자 명의 통장에 전액 예치한 후 20일 이상 평잔을 유지하고,
적격 한 기업진단보고서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합니다.
전기공사업면허의 두 번째 등록기준은 기술인력입니다.
전기공사협회에서 경력수첩을 발급받은 전기공사기술자
3인 이상으로 그 중 1인 이상은 전기 관련 산업기사 이상의
국가기술자격자가 포함되어야 합니다.
모두 1인 1자격, 4대 보험 가입, 상시근무를 원칙으로 하며,
이중근로와 겸업, 겸직이 불가능합니다.
이직자의 경우 피보험자격이력내역서를 통해 상실여부를
검토하며, 만약 전기공사업면허 취득 후 퇴직하여
등록기준에 미달되었다면 4대보험 상실일을 기준으로
30일 이내 재충원해야 전기공사업면허 유지가 가능합니다.
전기공사업면허의 세번째 등록기준은 사무실입니다.
면허를 등록할 본점 소재지로 상시 사용이 가능해야 하고,
타 사업체와 별도의 문으로 구분된 단독공간이어야 합니다.
사무실의 용도는 건축물대장 또는 건물 등기부등본을 통해
확인 가능하며, 근린생활시설 및 업무시설, 사무
외의 용도라면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
관할 주무관에게 문의하여 사용 가능여부를 파악하시기 바랍니다.
또한 근로자가 상시 근무하기 적합하도록
통신기기 및 사무용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이상으로 전기공사업면허 등록기준에 대해 안내드렸습니다.
관련하여 더 궁금하신 사항이나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신 경우
언제든지 하단의 연락처를 통해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.
[김나현 실장 : 031-726-2360 / 2361]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등록기준
- 실내건축면허
- 토공사업
- 금속창호지붕건축물조립공사업
- 전기공사업
- 비계구조물해체공사업
- 조경식재시설물공사업
- 철근콘크리트공사업
- 도장습식방수석공사업
- 산업환경설비공사업
- 지붕판금건축물조립공사업
- 지반조성포장공사업면허
- 철강구조물공사업
- 도장공사업
- 조경식재공사업
- 기계설비공사업
- 이한씨앤씨
- 기계설비가스공사업
- 종합건설업
- 취득방법
- 주력분야
- 토목건축공사업
- 조경시설물설치공사업
- 기계가스설비공사업
- 토목공사업
- 지반조성포장공사업
-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
- 건축공사업
- 실내건축공사업
- 전문건설업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